나무의사와 수목

가시나무의 종류와 특징~ 도토리 그리고 유래

시간여행중에 2025. 6. 9. 21:23

 

가시나무는 국내에서는 알려져 있는 자생지가

극히 드물어 자생지를 찾기 힘든 대단히 희귀한 수목입니다.

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고요.

참나무과에 속하는만큼 도토리를 갖고 있지요.

그런데 대부분의 참나무는 낙엽이 지는 교목이지만

(참나무과 수목 : 밤나무, 너도밤나무, 구실잣밤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그리고 가시나무류) 

가시나무류는  상록교목으로 겨울에도 푸른 빛을 띠웁니다. ^^

그럼 가시나무 종류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볼까요?

 

                < 가시나무 종류, 잎과 도토리 >

 

1. 가시나무

< 잎 뒷면은 회녹색을 띠며 톱니가 날카롭지는 않습니다,

 도토리는 동심원상의 띠모양이며 6~8개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 

 

2. 종가시나무

< 잎 크기와 형태는 변화가 심하지만 주로 중간이상에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도토리는 다른 가시나무류에 비해 통통하고 둥근 편입니다.>

 

3. 붉가시나무

 <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것이 다른 가시나무류에 비해 큰 특징입니다.

         잎은 비대칭이고 표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입니다 >

 

🌳 도시 정원에 어울리는 상록수, 가시나무의 매력과 특징

도시 속에서도 푸른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방법, 바로 정원수 선택입니다.

그중에서도 요즘 주목받고 있는 나무가 있는데요.

바로 가시나무입니다.

이름은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정원이나 조경에 참 잘 어울리는 수종이에요.

가시나무의 생태적 특징, 이름의 유래, 자생지까지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

 

🍃 가시나무란? — 상록성 참나무의 특별한 매력

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하는 나무입니다.

줄기는 최대 15m까지 곧게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색빛이 감도는 검은색으로 세련된 느낌을 줍니다.

무엇보다도 잎이 인상적인데요.

길쭉하고 광택 있는 잎에 불규칙한 톱니 모양,

그리고 뒷면이 희끄무레한 색을 띠는 독특한 모습이 특징입니다.

조경수로 활용 시, 이 색감 대비가 멋진 포인트가 되죠.

 

👍 가시나무 이름의 유래, 알고 보면 정감 가득

‘가시나무’라는 이름은 조금 딱딱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그 유래를 알고 나면 친근해집니다.

  • 제주 방언 설 – 제주도에서는 도토리를 ‘가시’라고 부르는데요.
  • 이 방언에서 ‘가시낭’(가시나무)이라는 단어가 나왔다 는 설이 있습니다.
  • 구황식물 설 – 과거 배고픈 시절, 도토리를 먹고 허기를 ‘가시게 했다’는 데서
  • 유래했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 가시나무의 생태적 특징 — 도시에서도 잘 자란다!

가시나무는 특히 도시 환경에 강한 나무로 유명합니다.

도시의 열섬 효과와 공해에도 강해,

아파트 단지, 공원, 학교 조경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어요.

  • 생육 특성: 공해 저항성 높음, 사계절 푸르름 유지
  • 열매: 9월경 도토리처럼 생긴 열매를 맺음
  • : 끝이 뾰족하고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흰빛을 띰

📍 가시나무의 자생지와 군락지

가시나무는 사실 자연 상태에서 자생지는 매우 드뭅니다.

특히 전남 진도군에서는

극히 적은 개체가 자라고 있는 희귀 수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죠.

하지만 도시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일대는

대표적인 가시나무 군락지로 꼽히며,

그 숲은 미적 가치까지 인정받고 있습니다.

🌏 일본에서는 뭐라고 부를까요?

     ‘우라지’라는 이름도 흥미로워요

 

가시나무는 일본에서도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일본에서는 이를 ‘우라지(ウバメガシ)’라고 부르며,

숯을 만드는 재료로도 많이 활용된다고 해요.

한일 양국에서

비슷한 식물에 다른 문화와 이름이 붙은 점도 흥미롭죠.

✅ 마무리

가시나무는 그 이름처럼 단단하고 견고하지만,

잎과 수형은 세련되고 우아합니다.

정원, 조경, 도시녹지 어디에든 잘 어울리는 상록수로,

사계절 내내 푸른 생명력을 느낄 수 있어요.

자연을 닮은 일상,

그 시작을 가시나무 한 그루로 해보는 건 어떨까요?

이상 포스팅을 마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반응형